본문 바로가기

개발/기타

(7)
[KTB]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클라우드 제주 1기 후기 24년 4월부터 10월까지. 6개월동안 부트캠프가 끝이나고 있다.마지막 후기를 적어보려한다.6개월동안 나는 무엇을 얻었고 무엇을 아쉬워할까. 기록은 중요하기 때문에. 처음 지원을 할 때 나는 이미 SSAFY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고민이 많았다. 그리고 이 고민은 아이러니하게도 지금도 같은 고민을 가지고 있다.부트캠프를 했는데, 또 하는게 맞을까? 이 부분은 정답이 없기 때문에 항상 고민을 많이 했다. 그리고 지금도 역시 이 과정 끝난 후에 우테코에 지원을 할까 말까 고민중이다. 여튼 6개월전의 나는 많이 성장하고 싶은 욕심은 있었지만, 스스로 할 자신은 없었던 그런 상태였다. 그래서 지원을 했고 다행히 좋은 결과가 있어서 현재 과정을 다 마치고 마무리를 하는 중이다.이전 포스트에서도 다른 부트캠프와 비교..
[KTB]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후기 / 클라우드 네이티브 제주 1기 / 과정 종료 1달 전에 쓰는 후기 나는 현재 KTB 클라우드 in jeju 과정을 수강 중이다. 6개월 동안의 과정 중에 이제 남은 기간은 1달 정도 남았다. 그래서 더 늦기 전에 과정에 대해서 기록도 해보고, 남은 한 달을 잘 보내기 위해서 이렇게 글을 쓴다. 아 그리고 지금 다음 기수를 모집하고 있어서 고민하는 사람들이 보면 좋을 거 같아서 작성한다.이전에 적은 글이 있기는 한데  [KTB]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클라우드 in Jeju 교육 중간 후기(?)나는 기존에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in Jeju(카클스)에 지원을 했었다. 24년 4월부터 시작하는 과정이었고,현재 과정에 열심히 참여 중이다. 4월부터 10월 초 까지 총 6개월 짜리 프로그램이다.처음 4hundoblog.tistory.com 저 때는 온라인으로만 수업을 듣던 시기였..
[KTB] 카카오테크 부트캠프 클라우드 in Jeju 1기. 교육 중간 후기(?) 나는 기존에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in Jeju(#카클스)에 지원을 했었다. 24년 4월부터 시작하는 과정이었고,현재 과정에 열심히 참여 중이다. 4월부터 10월 초 까지 총 6개월 짜리 프로그램이다.처음 4개월동안은 온라인으로 수업하고, 나머지 2개월은 제주도에서 오프라인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그러던 도중에 카클스가 리뉴얼? 을 하면서 '카카오테크 부트캠프(KTB)'로 이름을 바꾸면서 여러 코스도 생긴 것 같다.기존에는 클라우드 스쿨이라 클라우드 과정(개발자, 엔지니어), in Jeju 과정 이렇게 선발을 했던거 같은데... 사실 나도 잘 모르겠다.카클스는 5기 까지 선발을 했던 것 같고, 카클스 in Jeju 는 이번에 처음 선발한 것 같다. 그리고 내가 지원한 곳은 카클스 in Jeju 이다.이..
[우테코]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6기 백엔드 4주차 회고 (+ 결과 추가) 드디어 끝이 났다. 4주 동안의 프리코스. 약 한달 동안 많은걸 느끼고 또 배웠다. 프리코스라는 경험을 하게된것은 참 잘한 일인 것 같다. 당락도 물론 중요하지만 우선 4주동안 열심히 코딩을하고 나의 코드와 다른사람의 코드를 비교하고 또 학습하는 행위를 한것이 되게 재밌었고 답답했으며 뿌듯했고 또 벽을 마주하는 나를 보며 조금은 절망하기도, 또 미래를 계획하며 흥미롭고 재미있는 경험을 했다. 4주차 미션에서는 Input/Output View를 따로 분리하라는 요구사항이 있었다. 그리고 이전까지 해왔던 클래스 분리, 메소드 분리, 기능단위 커밋, 기능요구서 작성, 도메인 테스트 등의 요건들을 생각하며 개발을 했다. 기능 자체만을 구현하는 것은 이번 주차 미션도 크게 어려워 보이진 않았다. 구조를 어떻게 할..
[우테코]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6기 백엔드 3주차 회고 3주 차가 끝이 났다. 생각보다 고민도 많이하고 생각도 하고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다. 미션에서 드디어 클래스 분리를 요구했고, 또 도메인 로직 단위로 테스트를 요구했다. 이 두 개가 정말 ... 쉽다하면 쉽다고 할 수 도 있지만 처음 적용해보는 나로서는 많이 까다로웠다. 미션은 로또였고, 구현해야 하는 로직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았다. 근데 계속해서 클래스를 어떻게 분리할지, 메소드는 어떻게 분리할지, 그러한 고민들을 하는 것이 시간이 꽤 오래걸렸고 구현을 다 하고나서 테스트 작성과 이런저런 요구사항들을 구현하는것이 어려웠다. 일주일동안 정말 열심히 했지만 지키지 못한 부분도 많다. 4주차에도 클래스 나누기는 계속 되는데 4주차를 통해서 좀 더 기준을 가지고 분리를하고 이러한 과정이 더 매끄럽고 익숙하게..
[우테코]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6기 백엔드 2주차 회고 1주차와 2주차는 정말 달랐다. 1주차때는 그냥 단순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기능을 개발하고 요구사항만 해결했다. 전에 하던대로 단순하게 굴러가게만 만들었고 제출 후에 커뮤니티와 코드리뷰를 통해 다른 지원자들의 코드를 봤을때 정말 충격적이었다. 나는 정말 부족하고 내가 한건 정말 아무것도 아니구나. 정말 잘하는 사람이 많구나. 나도 나름 전공자인데 왜 내가 모르는것 투성일까. 미션을 해결하면서 가장 많이 생각한 고민은 다음과같다. 두가지중에 뭐를 더 중점적으로 생각해야할까. 1. 미션에서 주어진 요건을 완성하고, 시킨 것만 똑바로 하자. 2. 다른사람들처럼 구조를 바꾸고, 내가 모르는 부분을 공부해서 적용하자. 우선은 2주차 미션에서 주어진 조건과 중점적으로 생각할 부분을 설정해서 그 부분만 해야할지, 아니..
[우테코]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6기 백엔드 1주차 회고 우아한테크코스에 예전부터 지원하고 싶었던 생각은 있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지원하지 못하다가 이번에 6기 모집을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지원하게 되었다. 지원하기까지 많은 생각과 고민을 했지만 결국에 최선을 다해서 도전해보자는 생각으로 지원했다.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도 정확하게 정하지 못한 나는 지원때부터 많이 고민했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지만 전공수업으로 웹을 듣진 않았고 그래서 프론트와 백엔드를 둘다 조금씩 경험만 해본게 전부였다. 그래도 백엔드가 더 재밌었던 기억이라 백엔드로 지원했다. 진짜 개발자가 되고 싶다는 열망과 몰입에 대한 경험 부재에 대한 결핍이 내가 우테코에 지원하게 된 이유다. 이를 위해서 우테코 프리코스를 경험하고 싶었다. 우테코 지원만 해도 프리코스를 경험할 수 있다는것이 정말 큰 메리..